HUENCARE

고객센터 1588-0036
  • 주중 09~18시
  • 공휴일 휴무
  • 점심시간 12시~13시

본문

맞춤 방제 솔루션

해충·미생물에 따라 다양한 공법 및 방제시스템을 적용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보행 해충의 종류

바퀴

새로운 음식을 먹을 때 반소화된 음식물을 토함으로 음식물 오염,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 콜레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등의 병원균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토피, 알레르기성 천식, 비염유발.

개미

병원균을 묻히면서 이동하여 음식물 오염, 식중독 유발.

대규모 번식 및 사체분진으로 인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며 알레르기성 천식, 비염 유발.

보행 해충의 발생 및 유입 경로

하수구 및 배관을 통한 침입

외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하수구, 배관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아주 좋은 경로를 제공합니다.

식자재를 통한 유입 및 주방 발생

외부에서 들여온 식자재를 통해 보행해충이 유입된다면
취약 지역인 주방에서 대량 발생이 가능합니다.

출입구 및 포장재를 통한 유입

열려있는 출입구를 통해 침입하며 반입, 반출되는
박스포장재 틈새에 숨어있다가 실내로 유입되기도 합니다.

화단에서 발생

화단은 보행해충의 중요한 은신처를 제공하며,
화단에서 번식하게 됩니다.

쓰레기 처리 지역에서 발생

음식물 및 쓰레기를 처리하는 지역은
해충이 서식하기 가장 좋은 장소입니다.
방제 서비스에 가장 취약한 장소이기도 합니다.

방제 전략

서식처, 해충의 종류, 서식 밀도,
사체 배설물 등을 포함하여
해충의 발생 및 서식 흔적을 조사합니다.

해충의 종류에 따라 방제 방법을 결정하여
선택적으로 약제를 사용합니다.

* 고객에게 사전 주의사항 전달

발생 초기 제어 및 확인을 위해
모니터링 트랩을 사용합니다.
모니터링 트랩을 통해 해충의 서식 및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

* 고객에게 사전 주의사항 전달

해충의 종류 및 장소에 따라
다른 투약을 진행하며,
예상 지역 및 발생 지역에 투약합니다.

* 식약처에 등록된 인축에 무해한 약제 사용.
월 1회 이상 정기 관리를 진행하며,
시설 자체의 개선 사항을 공유합니다.

비행 해충의 종류

모기

흡혈을 통한 가려움증 유발로 2차 감염 발생.
실내 대규모 번식 및 사체분진으로 인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며 뇌염,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등 전염병 유발.

초파리

병원균을 묻히면서 이동하여 음식물 오염, 식중독 유발.

대규모 번식 및 사체분진으로 인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며 각종 전염병 유발.

파리

오염된 장소 서식으로 각종 병원성 미생물 보유.

지속적인 음식 섭취로 5분마다 배설하며 각종 식중독 균 및 전염병 유발.

비행 해충의 발생 및 유입 경로

외곽 화단 발생

외곽 화단 및 조경은 비행해충 뿐만 아니라
일반 곤충 또한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며,
반드시 해충 제어가 필요한 장소입니다.

쓰레기장 발생 및 배관을 통한 침입

쓰레기장은 비행 해충 성충이 은신하기 좋은 장소를 제공하며,
수분과 유기물 찌꺼기가 존재한다면
비행 해충이 성장, 번식하기 가장 좋은 장소가 됩니다.

트랜치, 하수구 발생

트랜치의 유기물 및 고인물에서 비행해충의 유충이 서식가능하며,
한번 발생하면 급속도로 해충이 확산됩니다.

출입구 및 창문을 통한 침입

열려있는 출입구와 창문, 방충망이 없는 창문은
실내 불빛, 안정된 기류 등에 의해 실내로 침입이 가능합니다.

방제 전략 비행 해충 별로 적절한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방제를 사용합니다.

해충 서식 및 발생 지역에는
살충제 및 기피제를 잔류 분무 합니다.

물 사용 지역 (트렌치, 배수구 등)에는
실내 국소적 잔류 분무를 진행 합니다.

* 월 1회 이상 정기 관리

실내 유인 포충등 등 다양한 장비들을
해충 발생 및 이동 예상 경로에 설치하여
해충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합니다.

카트리지는 월 1회,
유인램프(UVA램프)는 연 1회 교체하여
최상의 상태를 항시 유지합니다.

성장 조절제를 사용하여 모기, 나방파리 등
유충의 성장을 억제 합니다. 정화조 및 집수정 등
물 고임 지역에는 직접 투약을 진행합니다.

해충 개체군의 지속적인 관리 및 억제를 위해
천적 또는 곤충병원성 미생물이나
선충을 이용하여 방제합니다.

전선을 갉아 전기합선사고로 인한 화재유발. 분변으로 음식물 오염, 식중독 등 전염병 유발.

유행성 출혈열, 렙토스피아, 서교열 등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며 벼룩과 이를 포함한 외부 기생충의 중간숙주.

쥐의 발생 및 유입 경로

배관을 통한 침입

배관은 쥐가 실내로 침입하기 가장 좋은 이동경로이며,
실내로 쉽게 침입할 수 있습니다.

출입구를 통한 침입

열려있는 출입구를 통해 쥐가 쉽게 침입할 수 있으며,
한번 침입한 후에는 지속적인 침입을 시도합니다.
동절기에는 은신처를 찾아서 따뜻한 실내로의 침입이 왕성합니다.

벽면 틈새 및 구멍을 통한 침입

쥐는 0.7CM의 틈만 있어도 갉은 후 실내로 침입하려는 성질을 보입니다.

시설 노후와 틈새 발생은 쥐가 침입하기 가장 좋은 조건을 제공합니다.

실내 서식 및 화재 발생

실내로 침입한 쥐는 내부에 먹이원만 존재한다면
실내에 둥지를 틀고 서식할 수 있으며,
건물 시설 및 전선을 갉아 화재를 발생시킵니다.

외곽 쥐 굴

건물 외곽 및 야산 지역에 쥐 굴을 파고 쥐가 서식합니다.

방제 전략 쥐가 가지고 있는 행동 패턴 (멀리서 가까이 그리고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이용하여 디펜스라인을 구축/운영합니다.

쥐의 서식처가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합니다.

* 약제 직접 투약 및 먹이 상자 투약

쥐 먹이약제를 투약하며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따라 모니터링 트랩을 설치합니다.

* 모니터링 월 1회 이상 진행

쥐의 침입 및 이동 경로 내
모니터링 트랩을 설치하고 포획합니다.

* 포획 및 모니터링 월 1회 이상 진행

빈대 / 진드기

빈대

하루 1~5개, 일생 200~500개 산란 가능.

중고 가구, 낡은 책, 옷, 가방, 박스, 신발 등 묻어서 이동. 심각한 피부 손상과 2차 감염을 유발.

진드기

먼지진드기는 사람의 각질 및 비듬 또는 먼지 등을 먹이로 하며
한 사람이 하루에 떨어뜨리는 양으로 수천 마리가 수개월간 생존 가능.

소아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

방제 전략

침대 주변 및 틈새의 배변 흔적과 쇼파 틈새,
카펫, 벽지 등을 먼저 확인합니다.

P-Trap을 집기 틈새에 설치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합니다.

침대 및 침구류, 소파, 카펫 등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부분은
현미경을 통해 검사합니다.

모든 집기 및 가구에 계피 성분이 포함된
천연 약제 처리를 진행합니다.

48시간 이후, 재 모니터링을 통해
집기 및 가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 침구류의 경우 고온 (60℃ 이상)에서
깨끗하게 세탁 후 사용합니다.
위로 가기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필수 값을 모두 입력해주세요.